[ 상식 정보 ]/PC2010. 12. 31. 08:43

1. 프로토타이핑 모형

- Prototypin/Pilot/PoC/BMT 의 차이점 알아오기

 

위부분이 궁금하여 잠시 웹서핑.....

 

[궁금증]

PILOT을 저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험화하여 먼저 진행하고 성공적인경우 실제 개발을 진행

실제 프로젝트를 들어가기전의 시범프로젝트라고 알고 있었는데...

오류를 발견하기위한 시험테스트가동을 의미하는거라고 되어있네요....

업무에서 혼용되어서 쓰이는거 같은데..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웹서핑및 프로젝트관련문서 확인]

1. 성능 시험(BMT : benchmark test)
[정의]
어떤 기계나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될 것과 같은 여건에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하는 여러 가지 검사.
통상적으로 1개 또는 여러 개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비교하고자 하는 컴퓨터들에 수행시켜 성능을
측정함으로써 컴퓨터의 속도나 단위 시간당 일 처리량 등을 비교할 수 있다.
[프로젝트]프로젝트개발의 도입단계의 RFP에 의한 제안서를 제출한 후보업체의 아키텍처등 적합성및 성능검증을위해
BMT테스트를 실시후 해당 테스트결과는 업체선정의 평가에 반영된다.

2. 개념 증명 [ POC, proof of concept, 槪念證明 ]
[정의]
제품, 기술, 정보 시스템 등이 조직의 특수 문제 해결을 실현할 수 있다는 증명 과정.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신제품에 대한 사전 검증을 위해 사용된다.
[프로젝트]
경쟁제품과의 비교에 이용되는 벤치마크테스트와 달리 제품이나 기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할 경우
도입 위험을 완화하고 기술적인 접근방법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확인할 목적으로 실시함

3.파일럿 [ pilot ]
[정의]
원시 프로그램이나 시험 프로그램 등을 시험하는 일.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용하기 전에 오류 또는 부족한 점을 찾기 위하여,
실제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 가동하는 행위이다.
[프로젝트]
시범테스트및 통합테스트단계의 SW결함측정테스트

4.시제품화 [ prototyping, 試製品化 ]
[정의]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의 하나.
시제품화는 시제품, 시험 사용, 개선 과정을 반복하여 실용판의 사양을 완성해 나가는 기법으로,
전통적인 생명 주기 모델 또는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하는 접근 방법이다. 시제품의 시험 사용을 통해서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초기에 요구 사항이 확실하지 않거나 경영 환경의 급속한 변화 등으로
사전에 모든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없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 작업을 유연하게 제어,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프로젝트]
개발의 초기 단계에 전체적인 기능을 간략한 형태로 구현한 잠정판 또는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의 시험 사용을 통해서 요구 사항을 분석하거나 요구 사항의 정당성을 검증하여 다음 단계 또는
실용 시스템에 반영한다.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PC2010. 12. 30. 13:51

출처 :
한가한 휴일에 구글관련 책을 읽다가 구글 검색에관한 유용한 정보를 대대적으로 정리해봤습니다.

 구글의 검색을 제대로 알기위해서는 어느정도 기능에 관한 지식이 있어야하는데 정리된글이 그렇게 많이 보이지 않더군요.
밑에 쓰인기능의 대부분의 기능은 고급검색에서(클릭만으로) 이용가능합니다.


기본적인 검색기능
-다음 단어 모두 포함, and 검색
무의식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기능 입니다. 단어사이에 스페이스로 공백을 넣는 것이 and검색을 사용법
예) A B C - A, B, C 모두를 포함하는 검색결과


-다음 문구 정확하게 포함, 구(phrase) 검색 
구글 검색은 긴 문장을 자동으로 분해하여 and 검색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구를 정확히 검색하기 위해서는 구 검색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예) "김태희가 출연한 영화"
and 검색을 할 경우 59만 건이 검색돼지만 구 검색을 하게돼면 8천건의 검색한 구가 반드시 포함된 결과만 표시된다.


-다음 단어 적어도 하나 포함, or 검색
or 검색은 조금 더 많은 검색결과가 필요할때, 검색결과가 부족할 때 검색결과를 늘리기 위해 쓰여질 수 있다.
예)클라우딩 의미 | 정의 | 뜻
클라우딩을 포암하며 의미, 정의, 뜻 3가지중 1가지 라도 포함하면 검색된다. (클라우딩 의미 OR 정의 OR 뜻 이렇게 사용할 수 도 있다.)


-다음 단어 제외, not 검색
not 검색은 특정 단어를 제외함으로써 검색결과를 그물망으로 찌꺼기를 거르듯이 필요없는 정보를 줄여나갈 수 있다.
예)대통령 -이명박
대통령을 포함하며 이명박이란 키워드를 포함하지않는 정보가 검색가능 하다. [대통령]으로 검색했을 때보다 600만건정도의 검색 결과가 사라진다.

 


접기(이쪽에 다른 말을 넣어도 되요)

 


약간 전문적인 검색기능


 구글에 있는 검색 기능중 구글 바에 입력할 수 있는 검색기능을 소개하겠다.


*대체적인 변화의 규칙은 all이 앞에 들어가면 뒤에있는 단어 모두가 검색기능에 적용된다. all과 콜론은 띄어쓰기 없이 쓴다.
예) allinurl:A B 는 inurl:A inurl:B 과 같다


-특정 웹사이트 검색, site:(url을 입력)
특정 웹사이트내에서 검생할 수 있는 기능
예)site:http://kostat.go.kr/  연령
위의 검색은 통계청 사이트로 검색을 제한하고 연령과 관련한 자료를 검색한 결과를 표시한다.


-빈 칸 채우기(wild card), *
잘 모르는 부분을 검색할 때 쓰인다. 기본적으로 파일 검색의 *와 같은 의미
예)구글 *,   어쩔 수 없네 * 가지마라
라고 검색하면 구글의 여러 서비스가 등장, 가사의 중간에 모르는 부분을 *로 대체 and에 비해 유용성이 있는 지는 잘 모르겠음.


-있는 그대로 검색(plus search), +
구글에서는 it, that, of 같은 조사나 전치사가 너무 많은 검색 결과를 포함 할때 이를 생략하기도 한다. 단어의 앞에 +를 입력하면 정확히 그 단어가 들어간 검색 결과만 표시된다.
예)it 과 +it 의 검색결과 비교
it는 IT(information and Technology)라는 의미로드 쓰인다. 영어 구글에서 it을 검색할 경우 86억건의 결과 +it을 검색할 경우 253억건의 결과가 검색된다.  이 차이로 어느정도의 느낌은 왔을 것으로 생각한다.


-파일 형식, filetype:(확장자를 입력)
파일 형식을 제한하여 검색한다. pdf파일, 구글어스파일(klm), doc파일등 고급검색에서 지정하여 쓸 수 있다.
예)인터넷 이용률 filetype:pdf
인터넷 이용률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pdf파일 을 검색한다.


-캐쉬(저장) 페이지 cache:(url을 입력)
구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페이지이다. 도메인이 없어져서 볼수 없게된 페이지도 아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면 볼 수 있다.
예)cache:(url을 입력)
캐쉬페이지는 검색결과의 오를쪽 밑에 표시됨으로 구지 명령어를 외울 필요는 없다.


-관련 페이지, related:(url을 입력)
그 웹페이지와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사이트를 검색한다.
예)related:www.danawa.com/
위와같이 검색하면 여러 쇼핑몰 사이트가 검색된다. 캐쉬와 마찮가지로 검색결과 오른쪽 하단에 버튼이 있다.


-링크검색, link:
입력한 사이트에 링크되있는 페이지를 검색한다.
예)link:www.tistory.com
티스토리에 링크하고 있는 페이지를 검색.


-타이틀검색, intitle: allintitle:
타이틀로 범위를 제한하여 검색
예)intitle:우헤헤
타이틀에 우헤헤가 포함된 내용만 검색


-본문검색, intext:, allintext:
본문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검색
예)intext:이히히
본문에 이히히가 포함된 내용만 검색


-URL 검색, inurl:, allinurl:
URL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한다.
예)inurl:lab
url에 lab이 포함된 사이트를 검색한다. (allinurl:A B = inurl:A inurl:B)


-링크앵커 검색, inanchor:, allinanchor:
링크앵커 문자열   사이로 범위를 줄여서 검색
예)inanchor:hotfile


-기간검색, daterange:(숫자-숫자)
기간을 제한하여 검색한다
예)daterange:(2455558-2455559)
율리우스일 로 환산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환산계산기 (한국웹페이지엔 계산법밖에 없기에 일본링크)  위의 날짜는 2010년12월27-28일


-Numrange 검색, ..
일정범위의 숫자를 검색합니다.
예)팔굽혀펴기 50..70
팔굽혀펴기와 50~70사이의 숫자가 들어간 검색결과

-define 검색
영영사전검색
예)define:nothing

 구글검색에서도 블로그검색, 뉴스검색(inurl:new) 등 네이버 검색기능에 달려있는 여러 기능을 재현할 수 있다. 네이버에도 그 기능이 있지만 결국은 네이버에서 제공되는 제한된 검색이다.  구글검색을 잘 이해하기만 한다면 사용자에 맞춘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좋은 검색엔진이 될 수 있다.
밑의 글은 기능들을 활용한 응용검색의 예이다.

 

검색기능의 응용
-검색범위의 확장 OR검색
대부분의 검색기능들이 검색범위를 제한하여 검색결과를 걸러내는 기능들이지만 OR기능은 검색결과를 늘려주는 기능이다. 좀더 넓은 범위의 검색결과를 얻고 싶을 때 자주 사용된다. 사실상 구글은 세계적으로 영어쪽 정보가 충실 하기 때문에 영어를 같이 검색하는 것이 (특히 이미지 검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고양이 | cat | 猫  -  좀더 넓은 범위에서 고양이 사진을 찾는다.


-site와 inurl의 결합
 site: 기능만으로는 검색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두 기능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빛을 발할 때가 있다. 예로든건 조금 다른 예이지만 독자의 도메인이 아닌 프로바이더 홈페이지에 사이트여서 site를 쓸 수 없는 경우  inurl을 적절히 사용하면 검색이 가능하다. inurl만으로도 가능하긴 하다.
예)site:blog.naver.com inurl:aaa  -  site:blog.naver.com/aaa 로 검색을 해보면 알겠지만 포스트뷰의 주소는


-쇼핑몰 검색기능이 불충분할때
 inurl을 이용하여 검색결과에 반드시 들어가는 주소를 넣고 원하는 정보로 검색 마이너나 상품일 수록 찾기 좋겠죠. 주력상품은 메인에 올라오니
예)LG 노트북 회전 터치 2G SSD  inurl:gmarket.co.kr  -  LG의 노트북 회전, 터치 가능한 2G램의 SSD 옵션이 있는 상품을 gmarket에서  검색


-전문가의 답변을 검색
 FAQ내용은 전문가가 답변하는 경우가 많고 공적인 사이트의 경우 faq가 url에 들어가 있으므로 전문가의 답변들이 검색됩니다.
예)복통 두통 어지러움 설사 inurl:faq  - 복통 두통 어지러움 설사 가들어간 FAQ내용을 검색


-인물에 대한 평가를 검색
예)"노무현은" 같은 | 같아  -  구 검색을 사용하는 쪽이 어떤인물에대한 글을 썼다는 정확도를 높이고, 평가에 쓰일거 같은 어구를 가능한 많이 OR검색으로 연결 OR 검색으로 검색하는 이유는 검색자가 생각하는 언어의 습관과 완벽히 일치하는 글이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수상한 전화번호를 조사
예)우리나라는 특히 광고같은걸로 수상한 번호로 전화나 문자가 오는 경우가 있지요. 그렇경우 다시 걸어보기 전에 검색을 한번 해보면 광고성 번호인지 미리 조사가 가능하죠.


-통계자료조사
통계청 사이트에서 조사
예) site:http://kostat.go.kr/ 결혼


-기업의 평판을 조사
예)"삼성은" 같다 | 듯  -  삼성을 평가한 글들이 검색된다.


-블로그글 검색
블로그는 대부분 트랙백 기능이 있으므로 이를 역이용한다. 즉, 특정사이트집단에 공통적으로 있는 기능을 검색어에 추가함으로써 특정 사이트집단를 검색한다.
예)MBC 트랙백 | trackback

Posted by 무소유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