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식 정보 ]/Network2008. 6. 17. 01:35

AS(autonomous system)는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속해서 관리되는 라우터들의 집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S 내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Interior Routing Protocol 또는
Interior Gateway Protocol(IGP)라고 하고 AS 간에,

즉 AS 외부에서 서로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라우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Exterior Routing Protocol 또는 Exterior Gateway Protocol(EGP)라고 한다.

Interior Routing Protocol에는 RIP, IGRP, EIGRP, OSPF등이 있고,
Exterior Routing Protocoldpsms EGP, BGP등이 있다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Network2007. 10. 20. 02:30

1. 인터리빙 (Interleaving)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큰 장점 중의 하나는 잡음에 영향을 받더라도 0과 1의 구분만 명확히 전송된다면 내용의 왜곡이 전혀 없이 보낼 수있다는 점인데, 역으로 심한 순간잡음으로 인해 0과 1이 뒤바뀐다면 아날로그보다 더욱 심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취약점이 있다.
이러한 순간잡음에 대한 내성강화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중의 하나가 바로 인터리빙인데, 데이터열의 순서를 일정단위로 재배열함으로써 순간적인 잡음에 의해 데이터열 중간의 일부 bit가 손실되더라도 그것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CDMA에서는 각 채널에서 블록 반복과 블록 인터리빙을 사용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블록 반복 (repeater)
순간잡음에 대해 손실을 줄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반복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1 0 1 1 이라는 신호를 111 000 111 111 로 각 신호 단위로 3번씩 반복해서 보내기로 약속한다면, 중간의 비트에러 하나 정도는 완벽하게 복구가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하면 통신 효율이 떨어지게 되겠지만, 효율을 심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차원에서 이러한 종류의 반복을 이용한 순간 잡음내성 강화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리빙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반복 과정이 있어야만 제대로 된 효과를 볼 수 있다.

3. 블록 인터리빙
블록 인터리빙이란, 디지털 데이터 열을 일정한 블록 단위로 배열한 후 열과 행을 바꾸어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3-5-2> 에서는 이러한 블록 인터리빙 과정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블록 인터리빙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는 단지 배열만 바뀐 암호처럼 전송이 되는데, 이렇게 펄스열을 분산, 재배치함으로써 어느 한부분에 에러가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블록의 크기 정보만 있으면 블록단위만큼 데이터를 배열한 후 역시 열과 행을 바꾸어 배열하면 원래 전송된 신호가 복구된다. 이러한 디인터리빙 (deinterleaving) 과정을 통해 집중되어 있던 비트에러가 분산되게 된다. 분산된 비트에러는 블록 반복된 값의 특성에 따라 에러를 복구할 수 있게 된다.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Network2007. 10. 20. 02:29

1.DMT 란?

전화전(지역루프)가 낼수있는 이론적인 대역폭이다. 하지만 (가정과 교환국 사이의 거리) ,(케이블의 크기), (신호방식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 조건과 종류에 의해 바뀌는 적응 기술중 ADSL표준기술

QAM과 FDM을 조합한 이산다중음조기술(Discrete Multionne technique)이다. 1.104MHz의 가용대역폭을 256채널로 나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성. 0번채널은 음성 통신을 위해 남겨둔다.

■유휴 1번부더 5번채널은 음성과 데이터 통신 사이에 공간을 두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

■상향 데이터 및 제어 6번부터 30번(25개)까지의 채널은 상향 데이터 전송과 제어를 위해 사용한다. 한 개의 채널은 제어를 위해 24개 채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한다. 각각 QAM변조를 사용하는 4KHz(4.312KHz의 가용 대역으로부터) 대역폭의 24개 채널이 있다면 모두 24 X 4,000 X 15, 즉 1.44Mbps의 상향 대역폭이 된다.

■하향 데이터 및 제어. 31번부터 255번(225개) 채널을 하향 데이터 및 제어를 위해 사용한다. 한 채널은 제어를 위해 사용하고 224개의 채널은 데이터를 위해 사용한다. 224개 채널이 있다면 모두 224 X 4,000 X 15 즉 13,4Mbps의 속도를 낼수있다.


2. ADSL 전송기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Network2007. 10. 20. 02:27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 표준의 기본이 되는 참조 모델. ISO/OSI 모델이라고도 한다. OSI의 표준화는 방대한 작업이고 다수의 인원에게 영향을 줄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병행하여 진행되는 각 표준화 작업과 정합을 위해 OSI의 기본 개념을 기본 참조 모델(ISO/IEC 7497)로 규정하고 있다. 특정 정보 처리 기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장에 의존하지 않는 논리적이고 보편적인 망 모델을 7층의 계층화된 모델로 규정하고 있다. 이 7계층을 하위 4층(주로 전송 처리 규정)과 상위 3층(주로 정보 처리 규정)으로 나누고 하위층의 기능을 서브 세트화함으로써, 전송 형태에 영향 받지 않는 전송 서비스를 상위층에 제공할 수 있다. OSI의 각 표준 규격은 이 참조 모델에 따라, 계층마다 다른 개방형 시스템의 동위 계층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의 규격과 바로 위의 계층에 제공하는 기능(서비스 정의)을 규정하고 있다. 이 7계층의 최하위 계층은 하드웨어 연결만을 담당하고 최상위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 레벨의 소프트웨어 상호 작용을 담당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계층 이름

계층별 하는일

계층 장비

전송단위

7계층

 Application

User 인터페이스를 제공함

 

DATA

6계층

 Persentation

TXT,그래픽 → 기계적코드변환/ 암호화과정

 

DATA

5계층

 Session

연결,보안, 데이터교환을위한 세션관리

 

DATA

4계층

 Transport

흐름제어(에러발생시 복구), 신뢰성 전송

 

Segement

3계층

 Network

경로설정, MAC↔IP 주소변환

Router

Packet

2계층

 Data Link

오류발견, MAC주소제공

Switch,Bridge,NIC

Frame

1계층

 Physical

신호증폭, 케이블 규격, 물리적 커넥터 규격

Hub, Repeter

Bit


'[ 상식 정보 ]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럭 인터리빙이란?  (1) 2007.10.20
DMT 란? , ADSL 전송기술  (0) 2007.10.20
L2, L3 라우터의 차이점? (L4 스위치, FEP, QOS)  (0) 2007.10.20
DSU / CSU / 라우터  (0) 2007.10.20
Cisco 2500 Samsung 패스워드 복구  (0) 2007.10.14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Network2007. 10. 20. 02:25
L2 스위치를 그냥 스위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L3 스위치는 HUB+ROUTER의 역활을 수행하는 장비...즉 스위칭허브에 라우팅기능을 첨가(?)한 장비이고...
L4 스위치는 서버나 네트웍의 트래픽을 로드발란싱..즉 균등하게 분배하여 주는 스위치입니다.

FEP(front-end processor)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나 보드를 애기합니다.PC나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용 프로세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QoS(Quality of Service)의 경우 80년대 중반부터 학술적으로 논의된 네트워크 트래픽에 관련한 기술 규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는 규약에 관련한 이론들을 발전 시켜서 실제 제품으로 나와 있습니다. 2006년 7월 현재 국내에서 검색되는 전용 QoS 장비는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외산 장비 2개와 유일한 대한민국 장비가 있습니다.
 
QoS 장비를 도입하면, IP(사용자, 서버, 호스트) 또는 Port(특정 서비스, 예를 들어 웹, 메일, ERP, Groupware, 게임, P2P, 실시간 영화, VoIP 등)별로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을 지정하여 속도를 보장하거나, 지정 속도를 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인터넷 회선을 10M를 사용하는 일반 회사의 경우에 설치되면, 업무시간에는 게임 및 영화, P2P를 차단 또는 1M를 넘지 못하도록 설정하고, 동시에 중요한 업무 트래픽인 메일, ERP 등에 대해서는 5M의 속도를 항상 보장해 줄 수 있습니다.
 
퇴근시간이 지난 비 업무 시간에는 방화벽을 열어 주듯이 아무리 제한을 두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존의 네트워크 장비에서는 현재의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정확하게 분석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더불어 분석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차단이 아닌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은 QoS 전용 장비가 유일합니다.

이러한 정확한 트래픽 분석과 제어를 위하여 QoS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상식 정보 ]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럭 인터리빙이란?  (1) 2007.10.20
DMT 란? , ADSL 전송기술  (0) 2007.10.20
OSI 7계층모델 [7layer-model for OSI]  (0) 2007.10.20
DSU / CSU / 라우터  (0) 2007.10.20
Cisco 2500 Samsung 패스워드 복구  (0) 2007.10.14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Network2007. 10. 20. 02:25
■ DSU ( Digital Service Unit 또는 Data Service Unit )

보통 PC 에서 많이 사용하는 MODEM (MOdulator DEModulator)은 아나로그 회선에서 사용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바꾸거나 그 역의 기능을 합니다. DSU는 디지털용 회선에 사용하는 장비인데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혼동될 수도 있는 디지털 데이터와 디지털 신호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데이터 (PC 등에서 보통 사용하는 이진 데이터 0 0 1 0 1 1 0 1 0 0 0 1 0 1 0)
- 디지털 신호 ( 전송로로 전송되기 위해 변환을 거친 신호) 흔히 pc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0" , "1" 이 실제로 물리적인 전용회선으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고 전송로로 전송 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예를 들면 "1"은 5Volt 를 가진 파형, "0" 은 0Volt를 가진 파형) 변환됩니다. 그 변환을 하는 것이 종단장치의 역할입니다.

DSU(Digital Service Unit 또는 Data Service Unit)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기계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파형을 사용합니다. 이 미세한 디지털 신호를 멀리 전송하기 위해서 디지털 전송 장비가 필요한 것 입니다. 다시 말하면, 거리가 멀면 미세한 디지털 파형은 전송 되는 도중에 왜곡 현상이 발생되어 상대방이 인식 할 수 없으므로 이를 부호화(Incoding) 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하고 또한 부호화되어 들어오는 정보를 원래의 신호인 디지털로 복호화(Decoding) 하는 것이 디지털 전송장비의 역할입니다. 속도등이 버젼업 된 기기들이
HSM, FDSU,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이구요.

=> 디지털 신호를 충실하게 처리, 디지털전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주요장비입니다.


■ CSU(Channel Service)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channel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1channel은 64K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데 흔히 많이 사용하시는 56K/64K는 1ch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128K는 64 * 2 = 128 이므로 두개의 채널을 사용합니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이 여러개입니다. 그래서 속도가 128K인가 256K인가는 하는것은 2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4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전송에 있어서, 각각의 단채널들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먹스라 불리우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됩니다.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 24channel이 가능하고 E1은 30channel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결정됩니다. CSU는 T1, E1 라인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을 옵션에 따라 분류하여 512K 등의 고속급 전송을 합니다.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입니다. 예를 들어 512K 인 경우는 T1, E1단위로 받은 트렁크라인 중에서 8개의 채널을 분할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좌우측의 채널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고속급 채널들은 먹스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됩니다.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 합니다.

CSU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이다. Channel Service에서 Channel이란 한 개의 채널에 64kbps 또는 56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보통 64kbps를 1채널로 본다. 그래서 128K는 64kbps 두개의 채널을 사용해 128Kbps 속도를 낸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 여러개를 사용해서 전송속도를 낸다. 그리고 실제 전송할때 각의 채널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라 Mux라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 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이 된다. 그러므로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 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이다.

=> 분배기능이 주목적인 커다란 용량의 스위칭 허브라구 이해하시면^^.

☞ CSU(Channel Service Unit)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이다. Channel Service에서 Channel이란 한 개의 채널에 64kbps 또는 56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보통 64kbps를 1채널로 본다. 그래서 128K는 64kbps 두개의 채널을 사용해 128Kbps 속도를 낸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 여러개를 사용해서 전송속도를 낸다. 그리고 실제 전송할때 각의 채널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라 Mux라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 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이 된다. 그러므로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 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이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 24channel이 가능하고 E1은 30channel을 수용할 수 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한쪽에서 T1-MUX에서 분기되고 다른쪽에 E1-MUX에서 분기가 된다면 사용 할 수 없다. 이것은 CSU가 T1과 E1 채널이 서도 다르기 때문이다.


▶CSU는 T1,E1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옵션에 따라 512K등 고속전송을 한다. 그리고 여러 개의 고속채널들은 Mux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되는데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한다.


TD 송신 데이터
RD 수신 데이터
RTS Request To Send의 약자로 DTE가 DCE에 데이터 송신 요구를 표시
SYNC 전송로상의 반송파를 정상적으로 감시, 만약 SYNC가 깜빡거리면 전송로상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RED SYNC가 점멸하거나 꺼져 있는 경우에 빨간색 램프가 들어온다. 테스트 스위치 (LOOPBACK SWITCH)
CHANNEL LOCAL 일반적으로 DSU의 자체 테스트와 같은 의미로 자국으로 자체 루프하여 CSU장비 자체를 테스트하는 스위치
CHANNEL REMOTE 원격 루프 테스트로 장비와 대응되는 장비까지 루프 테스트는 것으로 전송로 구간을 전부 테스트 할 수 있다.

◈ CSU LED 표시 설명 표시램프 의미 [CSU ONS-150]

라우터(router)
랜을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송신정보(패킷:packet)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인터넷을 접속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장비이다.

단순히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통신망을 인식하여 경로를 배정하며, 수신된 패킷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수신처(노드)를 결정하여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통신 흐름을 제어하며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장점은 통신환경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놀리에 따라 통신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통신방법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트래픽:traffic)을 분산할 수 있다.
초기 환경설정이 어렵고, 특정한 프로토콜에 의존하므로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어려우며,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불가능하고, 기능이 복잡하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경로설정 및 보정 기능. 트래픽 예방 및 분산이 주기능이죠.


요즘은 CSU에 DSU기능이 포함하여 한 제품으로 많이 나오고 있구요.
라우터에 CSU기능이 통합된 제품두 있습니다.


디지털 회선망 즉 일반 랜의 일반적 망구성도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1.집중국(MOU)----DSU-----------CSU--------------ROUTER----컴퓨터등 단말장치 (저속)

2.집중국(MOU)----HDSL----4 wire 실선-HDSL----CSU.ROUTER----컴퓨터등 단말장치 (고속.원거리시)
(2B1Q실선)
 

■ 디지털 모뎀 (Digital Modem)
DSU : 56Kbps~64Kbps 속도의 전용회선에서 사용합니다.
HSM : 128Kbps 이상의 회선용이며, 전화국과의 거리가 3Km 미만일 때 사용합니다.
CSU : 128Kbps 이상의 회선용이며, 전화국과의 거리가 3Km 이상일 때 사용합니다.

전용선 혹은 WAN(wide area network) 회선을 라우터(router)와 같은 사설망의 장비에 연

결하는 종단 장비.

CSU/DSU는 모뎀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모뎀은 아니므로 아날로그(analog)와 디지털 간의

변환(변조와 복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CSU/DSU는 LAN(local area network)의 디지탈 데이터 프레임(frame)을 WAN에 적합한

디지탈 데이터 프레임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LAN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차단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장치인데, 종종 라우터와 결합된 형

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CSU는 회선 테스트를 위한 루프백(loopback)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SU는 회선 제어를

수행하며, LAN의 RS-232C, RS-449, V.35 프레임과 T-1선상의 TDM(time-division

multiplex) DSX 프레임 사이의 변환을 행한다. DSU는 또한 타이밍 에러와 신호 재생을 수

행한다. DSU는 DTE(Data Terminal Equipment)로서 컴퓨터와 CSU간의 모뎀과 비슷한 인

터페이스를 제공한다.

56K, T1 및 T3 각 회선의 CSU/DSU는 서로 같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상호 교체가 불가능

하다. T1 CSU/DSU의 경우, 24개의 서로 다른 채널(64K x 24 = 1.54MB)상에 64K

chunk(time slot)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HSM
점차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해 지면서, 56K 이상의 전용회선을 사용하게 됨에따라 고속 데이터 전송용으로 나온 것이 HSM 입니다. 전용회선도 56K 한채널이 아니고 다수의 채널을 모은것을 사용합니다. 한 채널이 아니고 여러 채널로 이루어져 구성된 만큼 데이터가 한번에 지나갈 수 있는 폭이 넓어진 것이므로 한번에 많은 양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HSM 장비는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라우터등 다양한 동기식 데이타를 전송 장치들의 데이타를 64K ~ 768K 로 통신 가능하도록 해주는 고속 근거리 모뎀입니다. 운용상 한계특성으로 메뉴얼 내용과는 달리 768K는 링크되기가 어렵고 512K도 전화국과의 거리가 상당히 근거리가 아니고서는 구성이 어렵고 개통되더라도 loss가 생깁니다. 이 고속모뎀은 속도에 따라서 제한거리가 달라지는데 128K 속도에서는 보통 실선인 경우 2.7Km 의 거리까지 가능합니다.

Posted by 무소유v
[ 상식 정보 ]/Network2007. 10. 14. 02:30
Since I published the Cisco 2600 router password recovery, I have got many emails requesting password recoveries for many other router families. So, I will start with the 2500 platform.

The part that matters in the configuration register here is the sixth bit. When this bit is off, the router looks into the NVRAM for the configuration. If the bit is on, the router neglects the contents of NVRAM and acts as if there is no (startup-config). So, to get things going when you have forgotten the password, or a previous administrator does not give you the password due to lack of documentation, you can bypass this problem.

Go through the following steps carefully:

1. Interrupt the router booting operation. This is done by pressing (Ctrl+Break) key simultaneously as soon as you turn on the router. This step will get you to the ROM monitor mode (rommon).

You will have the following:

System Bootstrap, Version 11.0(10c), SOFTWARE

Copyright (c) 1986-1996 by cisco Systems

2500 processor with 14336 Kbytes of main memory

Abort at 0x1098FEC (PC)

>

The (>) prompt is for the ROM monitor mode.

2. Now you should change the value of the configuration register in order to make the router neglect the contents of the NVRAM in the next boot up. This is achieved using the following command:

> o/r 0x2142

This command will change the sixth bit (originally the configuration register is 0x2102) to one. By doing so, the router will act as new in the next boot, i.e., the router will not look for the startup-config in the NVRAM.

3. Perform a restart to the router using the following command:  

> i

The (i) stands for (initialize).

4. The router now will restart and ask you if you want to use the setup mode and of course you will say no. Now, in order not to loose the configuration that you already have in the router, you should go to the USER privileged mode and perform:

Router#copy start run

This will get you back your old configuration but with one exception, you already are in the privileged mode without having to know the password..!!!!

Now you put a new password or passwords if you may:

Router(config)#enable secret blabla

And you can also put new console and telnet passwords if you like.

5. To get things going back to normal, change the value of the configuration register to its original form (0x2102) using the following global configuration command:

Router(config)#config-register 0x2102

6. Now you should save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new passwords that you know:

Router#copy run start

7. Now reload and you are good to go:

Router#reload

That we have done in these steps is that we by passed the original configuration that has the unknown password, and then we got to the privileged mode without the need to know the password. And then we loaded the old configuration so we don?t loose it and imposed a new password and saved things back to the NVRAM. And then we got back to the original boot sequence.

Posted by 무소유v